쟁의 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08:24
본문
Download : 쟁의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hwp
우리나라의 임금 체계가 여러 가지 항목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임금성이나 근로의 대상성 자체가 불명확한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쟁의행위 기간 중 포함된 유급휴일의 경우에는 그 날짜에 해당하는 임금은 원래 “일을 안 해도 주기로 한 것”이므로 일을 안 했다고 임금을 주지 않는 이른바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의하더라도 지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3. 관련 판례 법리
이에 따르면 “근로기준법의 임금에 관한 定義(정의)규정 등에 비추어 볼 때 모든 임금은 근로의 대가이므로 현실적 근로제공을 전제로 하지 않고 단순히 근로자로서의 지위에 기하여 발생한다는 이른바 생활보장적 임금이란 있을 수 없다.
‘휴일’은 사용자의 지휘명령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하는 날을 말하는 것으로, 오늘날 근로기준법상의 휴일제도는 연속된 근로에서의 근로자의 피로회복과 건강회복 및 여가의 활용을 통한 임금으로서의 사회적·文化(culture) 적 생활의 향유를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반대의 특약 또는 관행이 없는 이상, 쟁의참가 기간에 대하여 모든 임금을 삭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설명
쟁의 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
쟁의 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
Download : 쟁의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hwp( 36 )
쟁의 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 , 쟁의 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의약보건레포트 , 쟁 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
레포트/의약보건
쟁,행위와,유급휴일,인정여부,의약보건,레포트
쟁의행위와 유급휴일 인정여부
1. 쟁의행위 기간 중 임금청구권 일반(무노동 무임금 원칙)
대법원은 종래 임금의 성격과 관련하여 「임금이분설」을 택하여 교환적 부분에 상대하여는 지급하지 않아도 되지만 생활보장적 임금에 상대하여는 삭감되지 않는다는 『일부삭감설』을 취하기도 하였으나(대법원 1991.10.25. 선고 91다25536 판결 등), 1995년 「삼척 의료insurance조합 사건」에 대한 전원합의체 판결(대법원 1995.12.21. 선고 94다26721 판결)을 통해 견해를 「임금일체설(노동대가설)」로 요약하고 생활보장적 임금까지 삭감된다는 『전면삭감설』을 취하고 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2. 유급휴일의 특수성과 문제 사항
파업기간 중 임금이 전액 삭감된다는 판례 법리에 의하더라도, 그 삭감의 범위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유급휴일’이란 위…(투비컨티뉴드 )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