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과 한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05:45
본문
Download : 면역과 한방.hwp
신체의
발육, 노쇠현상과 면역의 관계는 일찍이 주의를 끈 문제로, 주로 선천적인 기운의 근본이
되는 신의 影響을 받는다고 알고 있따
이외에도 중시되는 것은 環境(환경)적 요인, 정신과 음식, 그리고 신체의 단련과 체질에 대한
면역 기능에 影響을 미치게 된다된다. 진기 혹은 정기는 바로 생체의 면역
계통의 정상적인 기능을 말한다.
유전과 면역의 관계도 한의학에서 취급되어야 할 중요 문제의 하나이다.
제 1 부 한의 면역학
서론
1. 한의학에서의 면역학 발달사
2. 한의학의 면역 理論(이론)
제1장 한의학과 면역학의 인식
1. 위기와 면역
2. 폐비신과 면역
3. 경락기혈과 면역
4. 선천품부, 체질과 면역
5. 부정거사와 면역
제2장 한약과 면역
1. 한약의 각종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작용
1) 과민 방응
2) 세포 용해 반응
3) 항원 항체 복합물 반응
4) 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2. 한약의 면역 촉진제
1) 상용 한약의 면역 촉진
(1) 보기약 (2) 보혈약 (3) 보양약 (4) 보음약
2) 면역을 촉진시키는 상용 한약
3. 한약의 면역 억제제
1) 면역을 억제하는 상용 한약
(1) 거풍제습류 약물 (2) 청열해독류 약물
(3) 활혈화어류 약물 (4) 독성공견류
2) 면역 엑제 작용을 갖는 상용 처방
4. 한약의 면역 조절제
1) 통과 작용
2) 신경 조절 면역
3) cGMP계통의 조절 면역 작용
4) 핵산 대사 조절 면역
5) 세포의 수량 증가와 면역 기능
6) 약물이 통과할 때 신체의 상호 조절 작용과 면역 조절
제3장 면역성 질환의 치료
1. 감기
2. 만성 기관지염
3. 동맥죽상경화 관심병
4. 사구체 신염
5. 갑상선 기능 항진
6. 만성 위축성 위염
7. B형 간염
8. 유풍습성 관절염
9. 홍반성 낭창
10. 경파증
11. 무맥증
12. 베세트 병
13. 종양
14. 장기 이식
15. 노쇠
제2부 약물 각론
개론
제1장 보기약과 면역
1. 황기
2. 인삼
3. 당삼
4. 백출
5. 영지
6. 운지
7. 저령
8. 표고버섯
9. 감초
10. 산약
11. 의이인
12. 대조
13. 강낭콩
제2장 보혈약과 면역
1. 당귀
2. 하수오
3. 태반
4. 황정
5. 아교
6. 계혈등
제3장 보음약과 면역
1. 지황
2. 오미자
3. 산수유
4. 여정자
5. 한려초
6. 맥문동
7. 천문동
8. 현삼
9. 뱀류
제4장 보양약과 면역
1. 음양곽
2. 보골지
3. 자오가피
4. 두충
5. 부자
6. 육계
정리(arrangement)
1. 면역계에 대한 작용
2.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影響
3. 부신 피질 및 그 호르몬에 대한 影響, 항염증 작용 및 조절 작용
4. cAMP에 대한 影響
5. 임상응용
제1부 한의 면역학
서론
1. 한의학에서의 면역학 발달사
한의학에서 면역학의 槪念은 `황제내경`에서부터 originate 된다고 할 수 있는데 (진기종지,
정신내수, 병안종래), (정기존내, 사불가간)과 (사지소주, 기기필허) 등으로 인식된다된다.






설명
,생활전문,레포트
면역과 한방에 대한 자료 입니다.
이런 것들은 이미 `내경`에서 분명하게 취급되었고 中國 수나라 때의 저서인 소원방의
`제병원후론`에서도 옻나무에 대한 과민과 체질은 서로 관계가 있다고 명확하게 밝히고
있따 역대의 의가들은 자주 어떤 질병은 평소부터 양허인에게서 많이 보인다고도 했고,
혹은 어떤 증상은 평소에 음허한 사람 등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고 강조하였다.
옛사람들은 질병을 인체의 정기와 병사가 서로 다투는 과정이며, 정기의 강하고 약함은
직접 질병의 발생, 발전, 變化와 전귀를 결정한다고 인식하였고, 아울러 부정거사의 치료
법칙을 만들었는데 그 影響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따
위에 기술한 (진기)는 정기와 동의어로 쓰이며, (사기)는 인체의 내외 環境(환경)중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여러 종류의 인자를 총칭한다. `여씨춘추` (진수)에서 보면 건강과 장수의 비결은
신체를 단련시키며 체질을 증강시켜 정기의 인자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라고…(drop)
다. 면역과한방cimous , 면역과 한방생활전문레포트 ,
순서
면역과한방cimous
면역과 한방
레포트/생활전문
Download : 면역과 한방.hwp( 85 )
면역과 한방에 대한 data(資料) 입니다. 이로 인하여 (부정거사)의 원칙에 따라 구체적인 처방과
약재의 분류가 이루어져서 면역 계통의 작용을 나타내게 되며 면역성 질병의 치료와 예방
작용을 하게 된다된다. 서로 다른
선천적인 요인은 개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인자의 adaptation(적응) 력, 저항력과 이감성을 결정한다.